[사주 명리학] 육십갑자

육십갑자(子).



60갑자라는 것은

앞서 이야기한 10천간 12지지, 

즉 10간 12지가 서로 결합하여

만들어내는 60개의 기둥을 의미한다.

기둥하나는 천간의 글자 하나,

지지의 글자 하나로 이루어진다.



결합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첫번째 천간, 갑목에

첫번째 지지, 자수를 가지고 온다.

그러면 '갑자'라는 기둥이 나온다.



주의할 것은 그 다음번에

갑목에 축토를 결합한 '갑축'이 아니라

천간과 지지 하나씩 돌려가며 짝지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갑자를 했으면

갑목 다음 천간 을목

자수 다음 지지 축토

'을축'이 된다.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이런 식으로 짝지어나가면 된다.

그런데 천간은 10글자인데 지지는 12글자라

지지 2글자가 남게 된다. 



여기서 '공망'이라는 개념이 나오는데

그것은 아주 나중에 이야기 하도록 하고

천간이 계수로 끝나면 그냥 다시 갑목을 가져오면 된다.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술 해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신 유 술 해 자 축 인 묘 진 사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축 인 묘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축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이렇게 갑자부터 계해 까지

60개의 간지가 나온다.




이렇게 짝 짓는 방식에 의해

항상 보면 양의 천간은 양의 지지와만 대응하고

음의 천간은 음의 지지와만 대응한다.




예를 들어

갑술 > 갑목은 양목, 술토는 양토
신해 > 신금은 음금, 해수는 음수
임자 > 임수는 양수, 자수는 양수
무오 > 무토는 양토, 오화는 양화
정사 > 정화는 음화, 사화는 음화


이렇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10*12=120이 아닌

10*12/2=60 개의 간지가 나오는 것이다.




이 간지들이 각각 시 일 월 년 자리에

와서 시주, 일주, 월주, 년주를 이루며

2*4=8개의 글자가 원국표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간지라는 것은 명리학에서

하나의 '단위'로써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올해 2019년은 기해년이다.

기토와 해수가 만난 년도다.

내년 2020년은 경자년이다.

경금과 자수가 만나는 년도다.



이런식으로 시간을 측정하는

하나의 단위가 된다.



이 글을 작성하는 현재 시점은

2019년 9월 7일 13:25

기해년 임신월 정미일 병오시



즉, 지금 이 순간 태어나는 아이의 원국은

시 일 월 년
병 정 임 기
오 미 신 해

가 된다.



기해년에서 시간이 계속 흘러 계해년이 되고난 다음엔

다시 갑자년으로 돌아간다.

그래서 갑자에서 계해까지 60간지가 있으므로

순환주기는 60년

이를 '고리 환'자를 써서 '환갑'이라고 한다.

'갑자년이 다시 돌아오기까지의 60년'을 뜻하는 말이다.

기해년 생이면 다시 기해년이 될때 60년이 지나있다는 뜻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주 명리학] 사주원국표 보는 법

[사주 명리학] 지지 12글자

[사주 명리학] 명리학이란 무엇인가?